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93

온라인에서 상품권 직거래할때 조심해야 겠네요 최근 사기범이 온라인 직거래 사이트에서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품권을 구매하고 파밍을 통해 제3자에게 상품권 대금을 지급하게 하는 사례가 있었다고 하는군요. 파밍 피해자의 신고로 상품권 판매자의 계좌가 정지되는 피해도 발생되었다고 하는데요 (소비자 경보 2016-5호) 신종 사기수법의 내용을 보면 1. 사기범은 피해자(A)의 계좌번호, 비밀번호, 보안카드번호 등 파밍 수법을 이용하여 피해자의 금융거래정보 탈취 2. 온라인 사이트에서 이용자(B)의 아이디를 도용 (*해당 사이트에서 거래 실적이 우수한 아이디를 도용하여 사기 의심을 회피) 해○○○상품권(이하 ‘상품권’)을 판매하는 다수의 판매자에게 상품권 구매의사를 밝히는 메시지(‘쪽지’)를 전송 3. 파밍 피해자(A) 계좌의 돈을 상품권 판매자(C)에게 송금.. 2016. 7. 18.
자동차 사고시 경미한 손상은 복원수리비만 지급 그동안 가벼운 사고에도 새 부품으로 교체를 해버리는 과잉수리 관행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제 범퍼긁힘 같은 경미한 손상의 경우 수리비만 지급하도록 자동차 보험약관이 개정되었다는군요. 개정표준약관이 내용을 보면 경미손상의 판단기준과 경미손상 수리비 지급기준의 신설인데요, 범퍼긁힘 등 경미한 손상인 경우 부품교체 없이 복원수리비만 지급하게 된다고 합니다. [심층 리포트] “범퍼 긁힘 교체 안 돼”…車 보험 ‘새 기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6&aid=0010334160 링크의 뉴스에서는 손상정도에 대한 소비자의 주장이 달라 법적 분쟁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군요. 하지만 금감원 보도자료를 살펴보면 일.. 2016. 7. 11.
불법금융 파파라치 신고제 한시적 운영 불법금융행위에 대한 감시와 신고기능의 활성화를 위해 불법금융 파파라치 신고제를 올해말('16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한다는 소식인데요, 신고포상금이 최고 1천만원까지라는군요. 불법금융 파파라치 신고제 ◈ 유사수신, 보이스피싱, 고금리 사금융 등 신고 내용의 정확성, 피해규모, 수사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건당 최고 1천만원의 불법금융 파파라치 신고 포상금을 지급 □ 신고대상은 5대 금융악 및 3유 · 3불에 해당하는 유사수신, 보이스 피싱, 고금리 사금융, 불법채권추심, 보험사기 등 불법금융행위 전반 5대 금융악 - ①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②불법 사금융, ③불법 채권추심, ④꺾기 등 금융회사의 우월적 지위 남용행위, ⑤보험사기 불법금융행위의 일시·장소·방법 등이 특정될 수 있는 구체적인 위반사실 및 증거.. 2016. 7. 4.
p2p 금융을 사칭하는 불법 유사수신 업체도 나타났군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가 필요한 개인이나 중소기업을 연결해주는 p2p 금융이라는게 있는데요, 최근 금감원에 p2p금융을 사칭하여 원금에다 높은 수익을 보장해준다며 유인하는 불법업체에 대한 신고가 다수 접수되었다는군요. Image courtesy of jscreationzs / FreeDigitalPhotos.net p2p금융을 사칭하는 유사수신 업체의 특징을 보면 ⊙ p2p금융, 크라우드펀딩, 핀테크 사업 등 새로운 금융기법 출현에 편승하여 마치 투자원금이 확정적으로 보장되는 것처럼 다수인을 현혹하면서 불법적으로 자금을 모집 * P2P금융, 크라우드펀딩업체는 대부(중개)업 및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체 등록을 통해 영업중 ... 라고 하는데요 1. 매입보증 등을 미끼로 투자원금을 보장한다고 주장 p2p금.. 2016. 6. 27.
대검찰청 공식 홈페이지를 보이스 피싱에 악용하다니 최근 금감원에는 피해자로 하여금 대검찰청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하여 검찰직원으로 믿게 하고 돈을 편취하는 신종 보이스 피싱 사례가 접수되었다고 하는군요. 그동안 사기범들이 만들어 놓은 피싱 사이트로 유도하는 수법이었던 것이 금융소비자들의 대처능력이 강화되자 대담하게도 대검찰청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하게 했다는데요 ~ 자료: 금융감독원 (http://www.fss.or.kr) 사기범은 피해자가 범죄에 연루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소명할 것을 요구하며 대검찰청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케 하고 (www.spo.go.kr > 온라인민원실 > 범죄신고) 범죄신고시 부여되는 신청번호를 특별사건 번호라고 기망한 후 (범죄신고를 할 경우 1AA-1234-12345 이런 식으로 신청번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별사건번호라고 거짓설.. 2016. 6. 20.
보이스 피싱 사기범들이 재직증명서 까지 위조하는군요 최근 금감원에 신분증 및 대출서류뿐만 아니라 재직증명서까지 위조하여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하는 신종 보이스 피싱 사례가 접수되었다고 하는군요. 보증료나 체크카드를 요구하면 의심을 받는일이 많아지면서 재직증명서까지 위조하여 보낸다니... 보이스 피싱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대처 능력이 높아질수록 수법도 지능화 되는 모양입니다 ~ Image courtesy of Vichaya Kiatying-Angsulee / FreeDigitalPhotos.net 금융소비자 유의사항으로는 □ 대출권유 전화를 받는 경우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해당 금융회사의 실제 존재 여부를 우선 확인 후 * 금감원 홈페이지(http://www.fss.or.kr) > 서민금융1332 >> 제도권금융회사조회 대출을 권유하는 자가 금융회사 .. 2016.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