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93 원격지원 프로그램을 악용한 신종 파밍 등장 최근 원격지원 프로그램을 악용하여 피해자의 컴퓨터에 접속, 직접 자금을 이체하는 신종 파밍(Pharming)수법이 발생했다고 하는군요. 파밍이 정부기관 사칭형 보이스 피싱과 결합하여 한층 더 진화한 형태로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하는데요 ~ 자료: 금융감독원(http://www.fss.or.kr) 보이스 피싱 사례 1. 사기범이 원격지원으로 피해자 컴퓨터에 접속하여 직접 자금이체 수사기관을 사칭한 사기범은 이미 이름 등 개인정보를 취득한 피해자(30대 여성)에게 전화를 건 후, -피해자 명의가 도용되었으니 컴퓨터의 자금이체 기록 등을 확인해야 한다며, 사기범이 피해자의 PC에 접속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 프로그램(팀뷰어)을 설치토록 함 이어 사기범은 원격제어 프로그램으로 가짜 검찰청 사.. 2016. 10. 17. 상속세, 증여세 이모저모 상속세와 증여세 ~ 일단 둘다 무상으로 이전되는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라고 볼 수 있을텐데요, 차이가 있다면 증여하는 사람의 생전에 이루어 지느냐 아니냐로 볼 수 있겠군요. 국세청 유튜브 채널에서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 정리한 국세매거진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상속․증여세의 모든 것 국세청 동영상의 내용을 간단하게 살펴봤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의 계산절차 및 세율 최근에는 상속 공제에 대해서도 이런 저런 말들이 많이 나와있는 것 같은데요, 영상에서도 공제의 한 예가 나오는데 사망자의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는 최소 10억원을,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도 5억원을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속재산이 그 이하인 사람들에게는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는다고 하는군요. 단 공제는 상속인별로 각각 공제되는 것이 아니고 피.. 2016. 10. 14. 신용카드를 여러장 분실했을때 일괄신고가 가능해졌군요 올해 10월5일 부터 신용카드를 분실한 경우 전화 한통으로 분실한 모든 신용카드를 일괄하여 신고할 수 있게 되었다는군요. 금년 중 온라인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을 통한 일괄 분실신고 서비스 시스템도 구축예정이라고 합니다. 다수 신용카드 분실시 한 통의 전화로 분실신고가 가능하며 전화가 가능한 곳은 국내외 어디서든 신고 가능, 각 금융회사는 1년 365일 24시간 상시 전화응대한다고 합니다. 대상카드는 신고인 본인명의(주민등록번호 기준)의 신용체크가족카드(단, 법인카드는 제외), 참여금융회사는 카드사 8개, 은행11개 등 총 19개 금융회사 자료: 금융감독원(http://www.fss.or.kr) 신고접수처는 참여 금융회사의 카드분실 신고센터이고, 분실한 신용카드의 금융회사 중 한 곳의 분실 신고센터에 신.. 2016. 10. 10. 알면 피할 수 있는 가산세 세법의 의무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가산세라는걸 내도록 되어 있지요. 법을 어기면 그만큼 불이익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만, 뭔가 잘 몰라서 가산세를 내는 속상한 일은 없어야 되겠지요 ~ 국세 매거진에서 가산세에 대해 정리를 해주었는데요, 평소 궁금하거나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면 한번 참고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산세, 알고 피하세요 국세청 동영상의 내용을 간단하게 살펴봤습니다. 신고불성실 가산세 신고기한 내에 신고를 하지 않았거나 신고한 금액이 신고해야할 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신고불성실 가산세가 부과된다고 하는군요. 이것은 무신고 가산세와 과소신고 가산세로 나눠지는데요 무신고 가산세 - 납세자가 법정기한내에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적용 과소신고 가산세 - 신고한 금액이 신고해야 할 금액.. 2016. 10. 7. 보험사기방지 특별법이 시행되었습니다 지난 9월30일 보험사기 방지 특별법이 시행되었다고 합니다. 보험사기 항목을 신설하고 처벌을 강화하여 보험사기를 근절하는 것 외에도 부당하게 보험금 지급을 지체, 삭감, 거절하는 경우 과태료를 부과토록 하여 보험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목적도 있다고 합니다. Image courtesy of Vichaya Kiatying-Angsulee / FreeDigitalPhotos.net 보험사기 특별법의 주요내용 1. 보험사기행위 정의 신설 및 보험사기죄 처벌 강화 그동안 보험사기는 형법상 사기죄로 처벌되고 있었다는데요, 처벌수위가 일반 사기죄보다 경미하여 중대범죄로 인식되지 않았었다고 하지요. 이제 보험사기행위 및 보험사기죄가 신설되어 10년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특별법 제8조) - 형법상 사기죄.. 2016. 10. 3. 세금측면에서 본 사업자 등록 준비사항들 사업을 시작할때 여러가지 할일들이 많을 겁니다. 국세청 유튜브 채널에 사업 시작할때 챙겨둬야 할 세무절차들이 대해 정리한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신규사업자를 위한 세금 상식'이라는 제목의 영상인데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분들에게 꽤 유용하지 않을까 싶군요. 영상의 링크 아래에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봤습니다. 사업자 등록시 구비서류 (자료: 국세청 동영상 '신규사업자를 위한 세금상식!!') 신규사업자를 위한 세금상식!! 국세청 사업자 등록 우선 사업을 위해서는 사업자 등록이 필요하죠. 사업자 등록은 사업장마다 해야 하며 사업 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에 가까운 세무서 민원봉사실에 신청 각종 구비서류들이 많이 필요하군요 ~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으면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을 수 없어 상품 구입시 부담한 부가가치세를.. 2016. 9. 30.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