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93

예금, 적금인척 하는 유사수신 업체 등장 최근 은행의 예 · 적금 상품과 같이 원금뿐 아니라 고수익을 보장한다면서 투자를 유인하는 유사수신 업체가 늘고 있는 상황이라는데요 ~ 약정서나 가입증서 등을 작성케 하거나, 글로벌 기업의 지급보증 등을 내세우며 투자자를 현혹한다는군요. Image courtesy of David Castillo Dominici / FreeDigitalPhotos.net 예 · 적금 상품 등을 사칭하는 유사수신 업체의 특징 1. 예 · 적금형 금융상품 형태로 거짓선전 제도권 금융회사가 아님에도, 고이율을 지급하는 예 · 적금형 상품을 취급하는 것처럼 선전하며 원리금을 보장한다고 하거나, 중도해약도 가능하다며 투자자를 유인하고, 관계법령에 따라 금융회사로 조만간에 정식 인 · 허가를 받을 것이라며 약정이율을 미끼로 투자금을 .. 2016. 11. 28.
수상한 대출권유 전화, 혹시 보이스 피싱은 아닐까... 요즘 금융회사를 사칭하여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에게 대출을 해줄 것 처럼 속인 뒤 돈을 편취하는 대출 빙자형 보이스 피싱이 증가 추세라고 하는군요. 사기범들의 사칭 수법이 매우 정교하여 실제 대출인지 구별하기도 어렵고 평소 대출받는게 어려운 입장에서는 사기범들에 대해 경계를 늦추게 된다는 것 자료: 금융감독원 (http://www.fss.or.kr) 2016년 1월부터 9월까지의 피해상담 사례를 보면 은행 대출이 어려운 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할부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회사를 주로 사칭, 계약이전 등으로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제일저축은행, SC저축은행 등의 금융회사를 사칭하기도 했다는군요. 은행권의 경우 점포수가 많은 대형은행을 주로 사칭하였으며, 대출영업을 하지 않는 금융지주 회사인 KB금.. 2016. 11. 21.
채권추심 가이드 라인이 좀 더 엄격해졌군요 개정된 채권추심 가이드라인이 '16년11월7일부터 시행되었다고 하는군요. 특히 개정 대부업법 시행에 따라 금융위 등록대상(금감원 감독 위탁)에 해당하게 되는 대부업자에 대해서도 동 가이드라인을 확대 · 적용한다는데요 ~ Image courtesy of Boaz Yiftach / FreeDigitalPhotos.net 주요 달라지는 내용은 1. 채권추심을 위한 채무자 접촉행위 제한 1일 2회를 초과하여 전화, 이메일, 문자메세지, 방문 등으로 채무자에게 접촉하는 행위는 - 채권추심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여 사생활 또는 업무의 평온을 심하게 해치는 행위"로 보아 제한 (기존 가이드라인에서는 금융회사가 횟수제한을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되어 있었고 대부분 1일3회로 내부 규정화하여 운용.. 2016. 11. 14.
증권회사 직원 개인계좌로 거래하는거 역시 위험하군요 증권회사 직원이 고객과의 친분 등을 이용하여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명목으로 직원 개인계좌 등으로 투자금을 수취한 후 미상환하여 다수의 투자자가 피해를 입는 사례가 있었다는군요. 최근 사례에서는 이런 식으로 투자금을 수취한 다음 고객에게 일정기간 높은 이자를 지급하여 입소문을 내는 식으로 피해가 늘어났다고 하는데요 증권회사 직원에 대한 지나친 신뢰 또는 개인적 친분 등으로 인해 직원 개인계좌로 송금할 경우 증권회사 내부통제시스템상 사고를 인지하기 어려워 피해금액이 확대될 소지가 높고, 사고를 적발하더라도 피해금액 보전이 사실상 곤란하다고 합니다. (소비자 경보 2016-8호) Image courtesy of jscreationzs / FreeDigitalPhotos.net 금융소비자 유의사항으로는 □ 증권회.. 2016. 11. 7.
가짜 저축은행 홈페이지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조심해야 겠네요 최근 가짜 우리저축은행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한 대출빙자형 보이스 피싱 피해 사례가 금감원에 다수 접수되었다고 하는데요, 사기범은 우리금융지주의 로고를 도용한 가짜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동사의 자회사인것처럼 피해자를 속이고 저금리 대출을 받으려면 보증료 등이 필요하다며 자금을 편취했다고 합니다. (소비자 경보 2016-7호) ※ 우리금융지주의 자회사인 우리금융저축은행은 ‘14.4월 매각되어 NH저축은행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부산에 소재한 우리저축은행은 실제로 존재하는 저축은행으로 우리금융지주와 관련 없음 금감원이 가짜 금융회사 홈페이지를 지속적으로 적발하여 폐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기범들은 회사명과 인터넷 주소를 바꿔가며 계속해서 사기행각을 벌이고 있어 금융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고 합니다.. 2016. 10. 24.
중고차 허위 매물을 피하려면 ~ 차 한대 산다는게 이거 뭐 한두푼 드는 일도 아니고 상당한 일이긴 하지요. 게다가 중고차를 사는 상황이라면 아무래도 더욱 신경 쓰이는 일들도 많을 텐데요 ~ 국토교통부 유튜브 채널에서 중고차 허위매물을 피하기 위한 정보들을 정리한 영상이 나왔습니다. 중고차 구입을 앞두고 있다면 한번 체크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군요. Image courtesy of nongpimmy / FreeDigitalPhotos.net 중고차 허위매물 예방법 국토교통부 동영상에서 소개된 사이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http://www.carku.kr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http://www.kuca.kr 카 히스토리 http://www.carhistory.or.kr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 http:/.. 2016. 10. 19.